공지영은 무술일 축(소)월에 태어났습니다. 

시주를 알수 없는 공지영 사주의 특징은 기운이 치우쳐 있다는 것입니다. 사주 원국에 금기운과 불 기운이 드러나지 않음으로 본인 스스로가 느끼는 결핍이 상당하리라 생각됩니다.  이럴경우 모든 기운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사주에 비해 부드럽게 굴러가지 않아 인생에 굴곡이 필연적으로 생길 수 밖에 없기도 합니다.

갑술일주의 공지영은 편재, 정재를 일주, 월주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평생에 금전의 곤궁함이 없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축, 술의 형 작용으로 그녀의 마음이 항상 곤궁하고 분란을 품고있어 공지영은 분쟁이 있는 곳으로 이끌려 가기도 하고 자신이 어떤일에 참여하여 분란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하고 또한 갑목은 10간의 첫번째로 항상 우두머리가 되고자 머리를 쳐들고 있는 형국이며 편재, 정재를 일주에 가지고 있다는 것은 모든 것을 자기 발 아래에 있는 것처럼 휘둘러야 직성이 풀린다는 이야기 입니다. 그러나 갑목이 뿌리를 내리고 싶어도 축토(1월)는 너무 차갑고 단단한 얼어 붙은 땅이라 나무가 뿌리내리지 못하고 항상 추위에 떨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공지영에 대해 이야기 할때 그녀의 작품 활동만큼 어쩌면 더 사람들이 이야기 하는것이 그녀의 순탄치 않은 결혼생활입니다. 태어난 시를 알수 없기 때문에 확신적으로 이야기 하기는 어렵지만 공지영의 사주에는 남편 글자가 드러나 있지 않습니다. 남편의 기운(정관)은 태어난 월지에 숨겨져 있는데 그렇기 때문에 남편과의 연이 매우 약합니다. 거기다가 일지와 월지는 형으로 엮여있기 때문에 남편과의 연이 평탄치 않습니다. 또한 축토는 갑목에게는 12 운성중 '관대'로  관대의 작용으로 겉으로 보기에는 멀끔한 모습을 하고 있지만 축토에 숨어있는 신금(정관)에게는 '양' 이라 공지영이 느끼는 남편은 밖에서 보이는 것과는 다르게 항상 보살피고 거두어야 하는 존재였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공지영에게 관성인 신금과 유금은 공망이기 때문에 계속 채워지지 않는 남편의 자리를 채우기 위해 애를 썼던것으로 보입니다.

천간을 보면 월간과 년간은 모두 인성(나를 생해주는 기운)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인성은 공지영에게는 글을 쓸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용했을 것입니다. 들어오는 대운도 초년부터 인성의 운과 재운이 계속 이어지기 때문에 글을 써서 성공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공지영의 인성은 계수와 임수이기 때문에 공지영의 정신 세계는 대단히 종교적이며 내밀하지만 그 뿌리가 약하고 지지를 재성이 지배하고 있기 때문에 생각이 현실 세계에 반영되기 보다는 현실을 쫓아갑니다. 그래서 이상과 현실의 괴리가 그녀를 괴롭게 만들 수 있습니다.

그녀의 대운을 살펴보면 18살이 되는 대학을 입학하는 때부터 금 기운(명예, 남편, 공부운 등)이 들어 오게 됩니다. 그 금대운이 2020년 이 되면서 끊어지고 큰 변화가 일어나게 됩니다. 초년에는 금, 수의 운이 들어오며 나를 생해주는 운이 들어온다면 말년에는 온통 불기운으로 지금의 운과는 반대의 운으로 흐르게 됩니다.  2020년 이후로 들어오는 정미 대운은 이미 있는 축술 형에 더해 축술미 삼형이 완전해 지며 소송 구설 등에 시달리기 쉽습니다. 그 이후로는 사주원국에 부족한 식신 상관의 운이 들어오는데  이것은 공지영의 사주에 부족한 기운이며 남과의 공감을 이룰수 있게 도와 주는 기운이라 지금까지와 같은 독선적인 행보는 많이 줄어들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 기운은 밖으로 발산을 하는 기운이므로 열심히 활동하고 움직이지만 결과는 별로 나오지 않게 됩니다. 그리고 관성의 소멸로 명분없는 싸움에 휘말릴 수 있고 명예의 실추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내년 2019년은 기해년으로 천간으로는 갑기합으로 재성, 지지로는 해 (인성)이 들어옵니다. 해는 축과 격각으로 평탄하지만은 않은 한해가 될것입니다. 또 천간으로 오는 재성이 자신만을 생각하게 하여 바른 판단을 하기도 어려울 것 같습니다.  

 


'유명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어준 사주, 절대 쫄지않아!  (0) 2018.10.20
김장겸 사주 돌아오라 마봉춘  (0) 2017.07.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