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은 을해일 축(소)월에 태어났습니다.

다른 후보들과 마찮가지로 여러가지 돌아다니는 생년월일 중 가장 지나온 세월에 비추어 타당하다고 생각하는 생일을 풀이 하였습니다.



문재인 사주





갑목이 "남산위에 저 소나무" 라면... 을목은 난초, 아이비, 잡초 같이 사람의 관심과 사랑 속에서 살아가는 화초 같은 성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을목을 연약하게만 본다면 큰 오산입니다. 부드럽고 유연하지만 집요하게 뿌리내리고 세력을 불려나가 자신의 뜻을 관철시키기 때문입니다.


그중에서도 을해 일주의 사람들은 대부분 유해 보이기 쉽습니다. 나무가 자라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물을 자기 일지에 깔고 있어 그 절박함을 느끼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굳이 비교를 하자면 이재명 성남 시장의 일간도 을목 입니다. 같은 을목 이지만 문재인은 자기를 생하고 지지해 주는 물기운을 지지에 가지고 있고 이재명 시장은 자신을 극하는 관성, 금기운을 지지에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점을 느끼시겠습니까? 


사실 문재인의 사주를 보고 조금은 놀라웠던 것이 지지에 관성이 전혀 나와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사람이 문재인이라는 것을 모르고 보았다면 잘 나가는 학원 원장님을 떠올렸을 법한 사주입니다. 또 한가지 특이 점은 문재인 당사자가 직접 인터뷰에서 직접 자신이 결코 약하지 않다 라고 이야기 한것처럼 약한듯 하지만 약하지 않습니다. 년주의 임진 양인살, 월주의 계축 백호살, 일주의 병술 백호살 이렇게 평판하지만은 않은 사주 구조로 칼잡이의 성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학원 원장님이 아닌 변호사의 길을 가게된 이유인것 같습니다.


문재인의 대운을 살펴 보면 한가지 기운이 몰려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어린시절에는 겁재운이 몰려있고 청, 장년 때에는 식상, 재성 이 몰려있고 작년92016)부터 시작되는 말년의 대운은 관성이 몰려 있습니다. 


어린시절 겁재운이 몰려 있을 때에는 한국전쟁때 월남한 부모님과 함께 아주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절을 보내게 됩니다. 그 여파로 성적은 무척 뛰어났지만 재수를 하게 되고 장학금을 주는 경희대 법대에 수석입학을 하게 됩니다. 그후로  병진 상관운이 시작되는 1975년 데모를 하다가 잡혀 학교에서 제적을 당하고 군대에 강제 징집을 당합니다. 

그리고 관운이 몰려있는 1980 경신(금)년 사법고시에 합격합니다. 그러나 데모 경력으로 판사 임용에 실패합니다. 대운의 상관운, 그리고 사주 원국에 관성 이 없는 것이 판사 임용을 막았다고 봅니다. 그 이후로도 꾸준이 정치권에서 제안을 받았지만 본인은 참모형에 가깝다며 그 제안을 거절합니다.


2004년 갑신( 관운) 년에 민정수석이라는 자리에 가고 바로 그만두지만 노무현 대통령 탄핵이라는 초유의 사태에 문재인은 정치권으로 되돌아와 2005년 재성이 관운을 돕기시작하는 기미 (재성) 대운부터는  정치권 주변에 머물게 됩니다. 


2016년 64세 부터는 사주 원국에 차고 넘치는 재성을 받아주는 관성이 천간, 지지에서 앞으로 20년간 들어 오게 됩니다. 그의 정치적 행보는 예견되어 있었다고 볼수 있지요. 그리고 2016년  2017 년은 지지로 관성이 들어옵니다. 대운, 세운에서 도와 주니 그가 '대세' 일수 밖에 없습니다.

지지에 있는 재성은 그의 지원군(세력) 이고 대운으로 들어오는 관운을 견인하는 힘이 됩니다. 


그를 공격하는 정치인들은 그에게 패권 정치를 한다고 하고 국민들은 문재인이 저 사람이 정말 개혁의 의지가 있을까 하는 의구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원국에 강한 재성과 인성에 기인한다고 생각합니다. 


지지에 강한 재성은 자신의 세력을 의미하고 (그래서 본인이 원치 않더라도 패권 정치라는 말을 듣지요) 관성을 도와주지만 원국에 관성이 드러나 있지 않고 상관(불기운) 기운이 약해 강력한 개혁이나 변화 보다는 원리 원칙에 기반을 둔 실리를 취하는 정책을 펼 가능성이 높습니다. 모임에서 아주 깐깐하게 원칙대로 돈계산 잘하는 총무 같은 인간형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천간에 강한 인성도 강력한 개혁이나 "적페청산" 보다는 "국민 대통합"에 방점을 찍어 줄 것 같습니다. 


아마도 그래서 문재인은 진보측에서는 "개혁의지의 부제(힘없는 상관)"로  문죄인, 보수측에서는 "패권정치(강한 재성)"로 문죄인 으로 불리는 지도 모르겠습니다. 


워낙 강력한 관 대운의 영향으로 문재인의 대선 당성 가능성은 어느때 보다도 높습니다. 그러나 이 사람은 우리가 원하는 만큼 강력한 개혁이나 적페청산을 해주지 않을 것 같아 보입니다. 



큰 나라의 명운의 틀에서 볼때 그래도 우리는 나아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결국에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변화를 원하느냐에 따라 많은 것이 달라질 것입니다.

5월 9일 꼭 투표로 그 열망을 담아내길 기원합니다.




모든 국가는 그에 걸맞은 정부를 가진다. Every nation gets the government it deserves.


이는 《Lettres et Opuscules》에 인쇄된 "Lettre 76"(1811년 8월 27일)에서 나온 문구로, 프랑스의 보수 전통주의자 조셉 드 메스트르(Joseph de Maistre)가 러시아 헌법 제정에 관한 토론을 하면서 나온 말이다. 왕정이든 민주주의든 국가를 건설하면 그에 맞는 정부를 가진다는 뜻.




손학규는 병술일 자월에 태어났습니다.

시는 정확하지 않고 음력, 양력 여러 의견들이 있지만 계속 관직에 계신것으로 보아 음력 11월 22일 이라고 판단하고 사주 풀이를 하였습니다.




손학규는 병술일에 태어나 불의 기운과 식신인 토의 기운을 가지고 태어났습니다.


이 사주의 특징은 출중한 관의 기운(물) 과 나의 기운(불)을 원활하게 이어주는 

나무, 인성 (초록)와 금, 재성 (흰색)의 기운이 사주에 드러나 있지 않습니다. 

이런 사주의 흐름을 원활하게 이어주는 연결고리의 부재는 "W" 의 이종석이 이야기 하던 일종의 맥락없는 전개를 만들어 냅니다. 

뜬금없는 정계은퇴나 산행, 복귀, 탈당... 정말 맥락없습니다.  


목기운(인성) 의 부재는 내 앞의 사안을 살피고 사람을 품어내는 힘을 약화시키며 어려운 일이 나에게 닦칠때 그것을 뚫고 나가는 추진력, 새롭게 일을 도모 하는 능력을 부족하게 합니다. 또 재성의 부재는 나를 위해 일해 주는 사람과의 끈끈한 유대를 어렵게 하여 필요한 때에 따라 대운에 따라 사람이 따르기는 하지만 그를 위해 몸 바치는 충성스런 부하는 가지기 어렵습니다.


한가지 더 주목해야 하는 것은 년주의 정화(불기운)와 월주 임수(물기운)의 합입니다. 겁재(동료, 형제, 동업자) 가 떡하니 옆에 앉아 나의 관성과 합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나(불)을 생해주고 기댈수 있는 목의 기운이 절대로 부족한 상황에서 정화(불)에 기대고 싶지만 관성과 합을 하며 내가 가져야 할 명예와 결과물들을 다 빼앗아 가고 있습니다. 절대로 동업이나 연대를 권하지 않는 사주의 형태입니다. 내 입장에서 보면 항상 뒤통수를 잘 맞는다고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정해 년주 덕분에   빛나는 관직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에 나와 함께 했던 동료들을 미워 하기만 하면 안됩니다.



이제 그의 삶을 행적을 조금 되돌아 보겠습니다. 


사주원국의 재성과 인성의 결핍은 어린시절 부친의 부재로 나타납니다. 

그리고 병술일주의 식신 (백호대살) 은 어려운 환경속에서도 학문의 성취로 나타나 서울대학교를 입학하게 도와 주었고  그 후로 들어오는 식상 대운은 민주화 운동을 재성은 관을 생하여 박사학위 취득,  교수 임용을 이끌어 냅니다.


그후 비겁의 운이 강해 지는 정미 대운 부터는 정치인의 삶을 살기 시작합니다. 사주의 막강한 관의 기운(물 기운)과 대적할 수 있는  불기운들이 들어오면서 내가 판을 장악하고 싶은 욕심이 생기기 시작하고 그 욕구를 현실로 만들어 나갈 수 있는 세력이 주변에 모여들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미토, 오화 가 공망이므로 내가 원하는 만큼의 성과는 이루어 내기가 어렵습니다. 정미 대운에서 월지의 자수와 자미 원진으로 정관을 자극해 보건 복지부 장관, 국회의원, 경기도 지사 등을 역임하며 그 입지를 단단히 해 나가지만 병오 대운에서는 자오충으로 칩거, 은퇴, 사퇴, 탈당 등 좌충우돌 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그러다가 을사 대운이 시작되면서 2016년 정계 복귀를 선언했지만 만만치는 않습니다. 천간으로 들어오는 을사대운, 을목 (나무의 기운)이 그를 새로운 일을 시작해 보고 싶다는 마음을 먹게 만들었지만 선출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정해 년주가 사해충으로 흔들리기 때문입니다. 또 세운에서 들어오는 유금이 해수(편관) 과 격각을 이루며 불협화음을 내기도 합니다.


대선이 있는 올해 정유년은 그에게 부족한 인성(의욕)을 대운에서 재성(세력, 욕심)을 세운에서 채워주지만 큰 꿈을 이루기에는 부족한듯이 보입니다. 



젊은시절 대한민국의 민주화를 위해 애쓰셨던 분인 만큼 모든 욕심을 내려놓고 다음 세대를 위해 바른 판단을 해주시기를 바래 봅니다.









안철수는 을미일 인월에 태어났습니다.

역시 시간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안철수는 을미일에 태어나 빼어난 목의 기운을 가지고 태어났습니다. 

을목의 기운이 출중한 천간 인수(물기운)의 도움과 바람막이 인목의 도움을 받아 미토에 강하게 뿌리내렸습니다.

든든한 토양과 숲, 물을 이루었으니 이제 꽃만 피우면 되겠다 싶을때 대운에서 30년 동안 화의 기운이 들어와 봄날의 꽃처럼 한바탕 흐드러지게 피었었습니다.

그런데 53세가 되는 2014년 부터 들어오는 무신대운은 그에게 이제 따듯하고 화려한 여름은 끝이 났다고 이야기 합니다.

그가 타인의 눈에 성공했다고 보여지는 가장 빛나는 운은 이미 지나갔다고 보여집니다.


을미 일주는 사람 안철수에 대해 많은 것을 이야기 해 줍니다.

을미 일주는 백호살 (하얀 호랑이 살) 입니다. 이름과 같이 평범하기 보다는 나름 대로의 한방을 가지고 있는 사람입니다. 거기에 년지, 월지가 다 호랑이 입니다.

또 지지의 미토는 안철수에게는 편재(재물)입니다. 천간에 포진하고 있는 정인(학문, 보살핌) 임수(물기운)의 강한 영향으로 그에게서는 교육자, 연구자의 인상이 강하게 풍기지만 편재는 재물을 나타내며, 그의 기본 성향은 사업가입니다.  그는 연구실의 연구원들 처럼 사람들의 필요를 살피고 컴퓨터 백신 등 을 직접 연구 개발했고 사업가의 기질을 가지고 연구실의 개발자로서 그 역할에 만족하지 않고 자신의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그의 이런 강한 교육자, 사업가적인 기질, 그리고 성공의 기억 때문에 선생님처럼 국민을 가르치고 이끌어야 겠다는 생각을 많이 할것 입니다. 그래서 그의 정치는 안맞는 옷을 입은것처럼 어색하기만 한가 봅니다. 


여기서 저도 한걸음 더 들어가 보겠습니다 ^^


안철수의 사주원국에서 주목할 것은 그의 인성 (임수)- 비겁(인목)- 식상(화 기운)- 편재(미토) -관성(금 기운) 의 선순환에서 불과 금 기운이 없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부족한 기운을 대운에서 채워줍니다. 정말 부럽게 대운이 잘 흐르고 있습니다.


우선은 23살 부터 들어오는 을사 대운 이후로 30년 동안 불의 기운이 들어와 을목 나무의 출중한 기운이 꽃을 피워 화려하게 주목받고 그 기운이 다시 미토를 도와 재물을 채워줍니다. 그리고 53살 이후로 들어오는 무신 대운( 금 기운) 관성은 안철수를 사업가에서 정치인으로 변신하게 합니다.


2016년은 병신년 2017년은 정유년으로 계속 금기운이 들어옵니다. 금 기운 무신 대운에 금 기운 정유년 세운까지...  넘치는 관성은 안철수가 정치를 떠날수 없게 그를 잡아 둡니다. 하지만 이 넘치는 금의 기운은 화의 기운처럼 화려하지 않고 오히려 임수의 뿌리가 되어 지나치게 물의 기운이 강해지는 결과를 초래할 것입니다. 또 지지로는 인목과 인신충을 하고 미토를 설기하여 안철수를 끊임없이 시험하고 흔들 수 있습니다. 금기운으로 강해진 그의 인성(물기운)은 안철수에게 오히려 그를 더 생각이 많은 사람으로 만들고 역경과 고난을 가지고 올수 있으나 국민을 위해 일을 해야 한다는 그의 사명감과 신념을 더욱 강건하게 만들것입니다.  천간에서 들어오는 2017년 정화는 대운의 도움없이 형세를 역전하기에는 부족해 보입니다.


정치가로서의 안철수는 사없가로서의 안철수 보다 인정받지 못하고 화려하지 않을 것입니다만 그의 마음은 진심이기에 부족한 화의 기운이 더욱 아쉽습니다.

저의 생각에는 정치가 보다는 능력있는 관료나 학교에 남아 후학을 가르치는 것이 더 어울리는 분이라는 생각이 듭니다만 또 그분은 그분 자신의 소신과 신념이 있으시겠지요. 


개인적으로 간철수라는 별명은 그가 정말 계산에 따라 행동하는 얍삽한 사람이라서기 보다는 생각이 너무 많고 하고싶은 일이 많아 생기는 결정 장애에 대한 오해라고 생각합니다. 그저 바램은 너무 많이 생각하지 말고 자신의 뜨거운 가슴과 소신대로 나가기를 응원합니다.




 


 








+ Recent posts